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5

2강. 민주주의와 민주시민, 디지털시대의 시민교육(김동춘) 2강. 디지털시대의 시민교육 by 김동춘 (전 민주시민교육연구소 소장) 민주시민활동가 양성과정 2번째 시간에서는, 오늘날의 민주주의에 대해 논의했다. 디지털 시대의 정보의 홍수와 가짜뉴스에서 현혹되는 시민들, 이로 인한 혐오감정이 활개를 치는 현실들에 대해 논의했고, 특히 정보취약계층인 고령자가 더욱 진짜뉴스를 식별하기 어려운 현실도 이야기했다. 이와 같은 상황의 개선을 위해서는, 근본적인 해결책으로서 민주시민교육, 지역사회나 회사에서는 노조와 같이 지속적인 시민으로서의 교육이 필요함을 다시끔 강조했다. 민주주의 발전의 저해요소로 전쟁과 같은 안보위기, 경제위기와 불평등이 결국 안전과 기본 생존에 사람들의 관심이 치우치면서 정치발전의 필요성이나 생산적인 협의가 이뤄지지않는다. 뭣이 중한디? 상황이 온갖 .. 2022. 4. 27.
1강: 민주시민활동가&코디네이터 양성과정 1강. 정당과 민주주의 by 박상훈 소장 (정치발전소 학교장) 민주시민 활동가 및 양성과정 첫 스타트의 날이다. 첫 강에서 빠질 수 없는 자기소개타임. 사회봉사 차원에서 강사가 되고 싶다는 분이나 실제 학교, 방과 후, 가정에서 아이들을 가르치다보니 민주시민으로서의 역량을 알려줘야한다는 생각이 들어 오셨다는 분도 꽤 되었다. 역시 자기소개는 수업에서 제알 흥미진진하다. 첫 수업의 첫 강사님은 ‘정당과 민주주의’라는 주제로 화두를 던진, 박상훈 정치발전소 교장선생님. 정당 민주주의의 태동과 역사, 정당민주주의의 필요성과 발전된 상태의 정당 민주주의에 대한 설명을 해주셨다. 세계 여러 국가의 정당 정치 사례도 들어 흥미진진했다. 현 프랑스의 극우(르펜)과 덜극우(마크롱)의 상황, 바이든 정부가 아니라 민주당.. 2022. 4. 25.
삐뽀삐뽀, 장난감 병원으로 오세요. 서울에 무슨 "장난감 병원"이 있다고요? 장난감 가게도 아니고, 수리점도 아닌 "병원"이 있다길래 너~~~무 궁금해서 찾아가 보았습니다 위치는 상도4동 어울마당 건물에 위치해 있었고, 1층에 카페 옆으로 올라가니 키즈카페 문이 보입니다. 상도4동은 지난 2014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사업 선정되면서 주민공동체 역량 강화를 위한 커뮤니티 앵커시설로 상도어울마당을 만들었고~ 2층에 키즈카페 안에 장난감 병원이 개소되어있습니다. 키즈카페를 생애 처음!!! 들어가 본 건데요. 오전이라 한가한 장난감병원&키즈카페를 구경하고 김영림 장난감 병원장님과도 여러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팍: 아이들이 장난감 병원에 어떻게 오게되나요? 림: 아이들이 무척 진지한 얼굴로, '선생님. 제 장난감이 죽었어요. 살려주세요~.. 2022. 4. 2.
잉글리시 투 머치해요 스타벅스에서 일어난 일이다. 아저씨 : 0000 주세요. 알바 : 사이즈 어떻게 드릴까요? 아저씨 : 네? 알바 : 사이즈 어떻게 드릴까요? 톨, 그란데, 벤티 있어요. 아저씨. 작은 거요. 알바 : (톨 사이즈 보여주며) 이거랑 더 작은 것도 있어요. 아저씩 : 작은 거요. 알바 : 숏 사이즈 있어요. 많이 작아요. 아저씩 : 작은 걸로 주세요. 아저씨~ 알바 대화 좀 잘 안들림 알바 : 네 그럼 바닐라라떼 톨 사이즈로 드릴게요. 아저씨는 커피 한 잔 시켜먹기 불편했을거고, 알바는 진땀뺐을 이 대화를 들으면서, 톨이니 그란데니 벤티니 이 생경한 외국어를 왜? 굳이? 써야할까와 동시에 너무나 많은 생활 속 용어들이 특히 영어 그대로 사용되어야 하는 걸까란 생각이 들었다. 소통에 더 지장만 있을 것 같은데.. 2022. 3. 26.
[책] 공정이라는 착각 by 마이클 샌델 능력주의의 신봉자로서 불편한 책이었다. 정보화 시대에, 공교육, 평준화된 시대에 개인이 축적한 부에 따른 평가를 받고 성과를 받아가는 능력주의가 어찌 불공정하다는 말일까. 그렇다면 이에 대한 대안은 개인의 능력여하에 관계없이 균등한 분배를 추구하는 사회주의가 정답이라는 걸까. 나는 삐딱한 눈을 가지고 이 책을 펼쳐 보있다. 2022. 2. 2.
[책]타이탄의 도구들 by 팀 페리스 매년 자기계발서를 읽어왔다. 문제는 책의 수많은 지혜가 내 삶에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게 나의 가장 큰 문제이고 숙제였다. 제한된 집중력과 시간안에 읽어야할 책은 더이상 자기계발서가 아니라 ‘업’에 관연한 책과 논문이라는 결론에 이르러 자기계발서는 이제 그만읽기로 했다. 마지막으로 아쉬울만한게 뭐가있을까 싶어 든 딱 한권의 책이다. 타이탄의 도구들. 저자인 팀 페리스는 사회에서 성공한 사람들 200여명을 인터뷰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노트에 기록하고 타이탄의 도구들이라는 책으로 엮어냈다. (타이탄=거인) 데일리 카네기의 책도 그러했듯 미국의 유명한 자기계발서는 인터뷰를 통해 다양한 사례를 총망라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단편적인 하나의 사건, 경험만을 통해 그 사람의 인생 전반의 성공을 이뤘다고 보기에는 당연.. 2022. 1. 31.
Good old days and now Having zoom reunion meeting at saturday morning with Panay members. They all look good and have progress in life and work. We shared updates each other. Maam Tess started her saying ”BTC is doing good” and explained current status of every BTC one by one. She is still active in field and responsible partner. Three sisters who transfered to Manila seems to meet often and rely on each other. They .. 2022. 1. 29.
Vora friends 10기 대모집 지난 9월부터 시작한 Vora friends 9기로서의 활동이 이제 마무리되었다. 하루 하나씩의 일상과 책과 문화활동의 흔적을 남기고 책을 읽고 후기를 남기고 소소한 미션을 하나씩 글로 남기고 글을 쓰는 습관을 들이기위해 필요한 일이라 기대와 의지를 가지고 신청해서 활동을 시작했는데 결과는 다소 아쉽다. 책도 온전히 다 읽지 못하고, 매일 문화생활로 채우기보다는 일상의 이야기가 가득했고, 미션글은 못할 때도 있었다. 바빠서 시간내기가 너무 어려워서 그랬지만 ‘정말 내가 시간이 없었나’ 싶은 생각이 든다. 다른 9기 보라프렌즈분들이 되게 알차게 책을 즐기고 문화생활을 즐긴 모습을 보면서 대단하단 생각이 들었다. 보라 프렌즈하면서 가장 좋았던 건 “인간 실격”을 보고 보라지양분들과 화상 독서모임을 진행한 것.. 2021. 12. 28.
[책] 방금 떠나온 세계 2021. 11. 30.
[책] 믿는 인간에 대하여 아멘 2021. 11. 30.
[책] 트렌드코리아 2022 대한민국의 내년 한 해의 트렌드를 한 권의 책으로 묶어 볼 수 있다니. 마케팅을 꿈꾸지않더라도 사업을 하고, 경영을 하는 입장에서는 이보다 더 유용한 책이 어딨겠는가. 생각이 들거다. 대한민국의 “아프니까 청춘이다”와 더불어 “트렌드”라는 표현에 관심갖게 만든 주역이자 꾸준히 십년 넘게 트렌드를 정리해서 책을 쓰고 있는 김난도 교수. 책을 완독하면 이런 양가감정이든다. 아, 트렌드에 맞춰, 뛰어넘으며, 잘 활용해서 성공하는데 유용하게 써먹어야지 & 좀 피곤하다. 그냥 늦으면 늦는대로, 내 방식대로 살아야지 하게된다. 나는 이런 책을 보면 이런 열정과 피로감이 동시에 온다. 그럼에도, 한국의 트렌드, 근미래의 화두를 알고 싶다면 읽어야하는 책이란 생각이 든다. 2021. 11. 30.
2021 송길영&유현준 Vorashow 2021 돌아온 보라쇼 후기입니다. #강력한 추위도 한방에 온기로 녹여주는 믿고 듣는 아람님 연주와 진행 첫 곡을 거위의 꿈으로 시작하는 아람님의 뒷모습에서 “그래요 난 꿈이있어요, 그 꿈을 믿는 사람이에요”를 말하는 것 같았다. 또 관객 모두의 꿈을 응원하는 아람님 마음이 전해졌다. 그냥하지말라 by 송길영 강연도 그냥하지않고 책에 대한 대중들의 피드백 데이터를 통해 어떤 공감을 받았는지를 위주로 설명해주셨다. 강연의 몇 가지 문장을 정리하면, ㅇ상수. 현대의 상수는 우리는 혼자살고, 오래살고, 모두가 우리없이도 잘산다는 것. 이런건 마케팅, 시장등이 다르다. ㅇ대체됨. 우리는 쉽게 대체될 수 있다. 공채제도와 연공서열이 사라짐. 5대그룹중 공채가 있는 건 1개 그룹뿐. 개별성과 창의성이 필요한 시점... 2021. 11.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