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학사업과 교육 사업이 빠졌다.
사업의 원칙이 무너졌다.
우리 사업은 현지 주민에게 개발에 대한 비전을 심어 주고 그들의 요구에 적극 귀를 기울여
이를 사업으로 실시하는 협력적 추진을 지향한다.
교육 사업은 지속성이 없다고 한다.
교육 사업의 지속성은 인재 양성에서 나온다.
이는 겉보기에 확신 없는 투자와 다름없어 보일 수 있다. 투입하면 바로 산출이 제깍 나오는 게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어느 것보다도 100% 성과를 나타내고, 지속가능한 지원이라고 난 믿는다.
또 예산안을 조목조목 다 뜯어 고치기 시작했다. 농업부가.
이래도 되나, 우리의 사업의 주도권은 다 주었다.
이건 존중, 협력 차원이 아니다.
주도권을 줌으로써 사업에 대한 책임을 전가하는 거라고 보인다.
"그들이 원하는 대로 해야지 맞는 거지" "우리가 뭘 알겠어" "하자는 대로 맞춰줘"
이렇게 하는 거였으면 그냥 사업비만 농업부에 줘도 된다.
또한 현장인력의 의견을 받아들이지 않는 이유가 합리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결국 지위로서, 대들지 말라는 말로 의견을 묵살한다.
수원측 파트너인 농업부에서 ~~한다 ~하겠다 하는 이야기만 믿고 계속 진행하는 사업.
우리와 같이 사업 관리 전문가 그룹(Project Management Consultancy) 이 있는 이유는
개발 사업을 올바른 방향과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주도적으로 하기 위함이다.
우리는 수원측이 알아서, 무언가 액션을 기다리고 이를 돕는 입장이 아니라
우리의 액션에 그들이 협력하게끔 이해와 설득으로 동의를 구하면 된다고 생각한다.
수원측의 현지에 대한 이해와 분야전문성이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요청하고 지원받는 것이 마땅하다.
그러나 요청에 대한 액션이 미미할 경우 차선책을 강구해야 한다.
우리 사업엔 그 차선책이 없다.
미미한 액션이 사업 지연의 핑계가 될 수 없는 데도
그걸 이용하고 있는 듯한 상황 전개에 답답함을 느낀다.
사업의 흐름은 필리핀의 지원 요청 ->코이카의 승인->사업실행기관파견->사업실시->완료->평가 및 환류가 아닌가.
우리가 수원국의 느린행정과 과거의 사업 경험들을 100% 수용할 필요가 없다
수원국의 상황이 우리에게 책임 전가와 면피용이면 안된다.
아쉽다.
'개발현장 > 파나이@필리핀'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rruption과 담당자의 무지함 (0) | 2017.09.25 |
---|---|
필리핀과 지프니 (0) | 2017.09.23 |
2016년 12월 19일 파나이일기 (0) | 2017.09.22 |
농민들에게 비즈니스 플랜을 쓰게 한다는 건? (0) | 2017.07.22 |
Why are we not listened? (0) | 2017.07.2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