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필리핀 파나이 농업유통 역량강화"의 연수 과정은 크게 모듈 (5) 파이브
모듈 1은 리더십 함양
모듈 2는 한국의 농업개발과 민관협력
모듈 3는 한국의 협동조합 발전
모듈 4는 농산물 유통개발 *하이라이트
모듈 5는 그래서 액션플랜! 으로 알차게 구성되었다.
모듈 1. 리더십 : 한국 1950-60년대 농촌 개발의 산 역사와 증인, 그리고 농촌개발의 위대한 지도자로서
한국지도자아카데미의 "김일주" 원장님께서 직접 강의해주셨다.
원장님의 1950년 북한 탈출기, 유엔군 만난 이야기, 머슴살이를 거쳐 고등학교, 대학교 입학 이야기, 고유석창 박사님의 도움으로 전국 농촌계몽운동의 시작기, 전국 확산기와 이탈리아 유럽 이야기. 그리고 현재의 한국지도자아카데미 설립 까지 이야기를 듣고 있다보면 한 개인의 영웅적 위대함과 그 사명감에 무한한 감동이 밀려온다.
원장님 말씀에, 훌륭한 지도자는 4개의 능력이 필요하고 이를 갖추면 3개의 힘이 생긴다고 하셨다. (이건 비밀)
(덧붙여 난 강의를 통역하는 영광을 ㅠㅠㅠㅠ 07학번인 나의 딱 50년 건국대 선배님이라고 하셨다 ㅠㅠ 감동 오십배)
모듈 2.의 시작은 "한국 ODA이해와 농촌개발 ODA (김인 연세대 교수님)
모듈 2. 한국의 농촌개발과 농업금융 정책 (한경대 서종혁 교수님)
모듈 3. 협동조합과 한국의 협동조합 발전 (한경대 황성구 교수님)
모듈 3. 한국의 농촌발전과 협동조합 (건국대 김정주 교수님)
모듈 3. 신용협동조합 (신협중앙회 박희준 대리님)
모듈 4. 농업가치사슬 (한경대 이남호 교수님)
모듈 4. 로컬푸드의 가치와 활성화 방안 (한경대 윤해진 박사님)
모듈 4. 모듈의 마지막강의는 농산물 마케팅 (비오디오 윤태유 대표)
수강생들과 호흡하면서 마케팅이 무엇인지에 대한 개념설명부터 마케팅 전략을 수립해보는 실습까지 해보는 유익한 수업. 이로써 파나이의 통합 농산물 브랜딩이 순조롭게 만들어지길!
모듈 5. 액션플랜 만들기 위해 필요한 사업 기획, 로지컬 프레임워크 등 이론을 배우고 (한경대 윤해진 박사님)
뒤이어 액션플랜 워크숍 실시
그외에도 다양한 현장 강의와 사례 발표를 더하여 좀 더 생생한 현장의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농업법인 자연터의 박인호대표님의 "로컬푸드 사업의 이모저모"
농산품(토마토)개발에서부터 상품화, 시장화와 대규모 판매망 확보 및 현재는 로컬푸드 직매장/교육프로그램의 6차산업화까지 해내시는 대표님 추진력에 감탄을 하며 사업노하우를 하나 하나 배우려고 귀를 기울였다.
한국의 대표 로컬푸드 (1대) 완주로컬푸드
완주로컬푸드의 가치와 사업추진 방법을 듣고 완주로컬 직매장을 구경, 완주로컬 레스토랑에서 점심을 먹으니 학습 효과가 두세배는 될 것 같다. 특히 수강생들이 관심있던 건 완주로컬푸드 인증제도였다.
또한 모든 태동부터 전 사업과정에서 전폭적인 완주군청의 재정적, 기술적 지지가 있었단 점에서 우리 하민단, 투붕안 군수님들 연신 고개를 끄덕끄덕, 느낀 바가 클 것 같다.
가평6차산업협동조합의 장석철 단장님
왜 가평이 농산물 생산 - 시장 - 투어리즘까지 발전가능성이 무궁무진한지지를 깨달으며 기차여행의 도시락 배송, 매년 재즈 페스티벌 개최 등 농업의 6차산업화의 다양한 사업화 방법까지 배울 수 있었다.
우리 파나이의 고지대도 친환경 농산물을 생산하면서 에코투어리즘까지 성장하는 모습을 꿈꾸게 되었다.
파나이 또 화이팅 !
'개발현장 > 파나이@필리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8년 여름 파나이 복귀! (0) | 2018.07.29 |
---|---|
초청연수 - 한국인의 밥상 (0) | 2018.07.19 |
초청연수-한국의 음식문화(조식중식석식) (0) | 2018.07.01 |
필리핀과 농업금융 (0) | 2018.04.14 |
고민많은 초청연수 (0) | 2018.04.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