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이 글을 쓰는 이유는 두가지이다. 첫째 피알디피 사업을 더 자세히 알기 위해서이고,
둘째는 우리가 배울 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다른 사람들과 나누기 위해서이다.
소개
PRDP는 필리핀 룰럴 디벨롭먼트 프로젝트로 대표적인 필리핀 농촌개발사업이다. 0000년에 00의 차관을 받으며 00와 00가 협력을 수 하며 시작되었다.
프로젝트는 필리핀 전역에 00개 사무소를 두고 이쏙, 총 00명의 스탭이 일한다. 사업 규모는 연간 00 달러 정도. 시작부터 몇년 까지 00가 사업비로 지출되었다.
사업의 요소와 내용이다.
사업은 크게 농촌현황과 개발 현황을 연구하는 파트의 vca, 그가 있고, 실제로 사업을 수행하는 i-build, I-read part 가 있다.
구체적으로 파나이 섬의 REGION 6사무소의 활동영역을 한 예시로 보면 다음과 같다.
국제 기구, 국별 기관, 시민사회 조직 등 비슷한 구조로 운영된다. 본부로 불리는 곳에서 연간, 수년간의 사업 방향을 결정하고 예산을 분배,
이 후 국가사무소에서는 수원국 정부와의 협의를 통해 구체적인 사업을 구상한다.
그림으로
여기서 한 가지 국제기구와 국별기관의 차이가 있다. 보통 국제기구에서는 사업 팀을 구상할 때 현지인을 중심으로 구상한다. 회계, 문화, 트레이닝, 파트너와의 의사소통, 모든 면에서 현지인력이 참여 가능하기 때문 - 장점은 현지사정을 너무나 잘 알고있는 점,사업의 연속성이 있는 점, 연착륙 가능한 점, 기존의 네트워크 활용 가능,
보통의 국가 기관들은 다른 국가들과는 비교분석을 안해서 모르겠고, 한국의 경우 보통 한국 기업, 대학, 엔지오에서 사업을 수주받아 집행한다. 내가 속한 한경대도 이에
다시, 피알디피로 화제를 바꿔보자.
피알디피의 사업 운영 방식에서, 유용하다고 생각된 점
1. 필리핀 전체를 아우르는 사업운영 방식 일관화
2. 분석-사업집행
3. 현지 정부와의 파트너십,
'개발현장 > 파나이@필리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니저란 (0) | 2017.06.06 |
---|---|
논쟁하는 사람과 협의하는 사람 (0) | 2017.06.06 |
2017년 5월 필리핀 현재 (0) | 2017.05.27 |
greedy hiden face (0) | 2017.05.06 |
happy b-day Party in Iloilo (0) | 2017.05.06 |
댓글